지방에는 고인과 제사를 모시는 사람(제주, 祭主)의 관계를 적고, 고인의 직위를 적고, 고인의 이름을 적고, 마지막에 신위라고 적는다. 각각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고인과 제주의 관계
아버지는 ‘고(考)’, 어머니는 ‘비(妣)’, 조부모는 ‘조고(祖考)’, ‘조비(祖妣)’, 증조부모는 ‘증조고(曾祖考)’, ‘증조비(曾祖妣)’라 하여 앞에 현(顯)을 써서 ‘顯考(현고), 顯妣(현비), 顯祖考(현조고), 顯祖妣(현조비), 顯曾祖考(현증조고), 顯曾祖妣(현증조비)’라고 쓴다. 남편은 顯辟(현벽)이라고 쓰며, 아내는 ‘顯(현)’을 쓰지 않고 亡室(망실) 또는 故室(고실)이라 쓴다. 형은 顯兄(현형), 형수는 顯兄嫂(현형수), 동생은 亡弟(망제), 또는 故弟(고제), 자식은 亡子(망자), 또는 故子(고자)라고 쓴다.
2. 고인의 직위
전통적으로는 남자 조상이 벼슬을 한 경우에는 벼슬의 이름을 쓰고, 여자 조상은 남편의 급에 따라서 貞敬夫人(정경부인), 貞夫人(정부인), 淑夫人(숙부인) 등의 호칭을 나라에서 받았기 때문에 그 호칭을 썼다. 벼슬을 안 한 경우 남자 조상은 ‘學生(학생)’이라 쓰고, 그 부인은 ‘孺人(유인)’이라 썼다.
3. 고인의 이름
남자 조상의 경우 모두 ‘府君(부군)’이라고 쓰며, 여자조상이나 아내는 본관과 성씨(사례에서는 ‘김해 김씨’)를 쓴다. 자식이나 동생의 경우 이름(사례에서는 ‘길동’)을 쓴다.
다음은 예제입니다..
맨오른쪽 보시면 김해김씨 라고 되어있는데 이 부분을 각 성씨에 맞게 바꾸시면 됩니다..
<백숙부모 지방 쓰는법 예제>
<부모 지방 쓰는법 예제>
<조부모 지방 쓰는법 예제>
<증조부모 지방쓰는법 예제>
및 네이버캐스트 상식백과 http://navercast.naver.com/commonsense/howto/3600
를 참고로 작성하였습니다.
'생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상에서 가장 비싼 게임 아이템 - +4 집행검 (20) | 2010.10.15 |
---|---|
벌점 안받고 교통 범칙금 처리하는 방법 - 이상한 교통 범칙금 제도(1만원으로 벌점 제거) (0) | 2010.09.26 |
전입신고 및 확정일자 받기 (0) | 2010.09.19 |
Betman - 온라인 프로토 승부식 승무패 게임 방법 및 개요 (1) | 2010.06.01 |
예비군 훈련 조회 사이트, 예비군 훈련 조회시 필요한 군번 조회 사이트 안내 (0) | 2010.05.10 |